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차이점(지원대상/소득조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 정책금융상품 중 청년을 위한 저축 상품들입니다.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시는 분들 많으시죠?

“둘 다 국가에서 돈 얹어주는 거라던데… 난 어떤 걸 들어야 하지?”

이번 글에서는 이 두 상품을 하나하나 비교해서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제도 목적부터 다릅니다.

‘도약’과 ‘자립’의 차이, 여기서 시작돼요.

  • 청년도약계좌는 일정한 소득이 있는 청년이 자산을 모으도록 도와주는 상품이에요. 쉽게 말하면 “열심히 일하고 있으니, 더 크게 도약해봐요!” 라는 느낌이죠.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이 낮은 청년에게 “당장 생활이 빠듯하죠? 그래도 포기하지 말고 자립해봐요!” 하는 제도예요.

즉,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 이상 대상,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 대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원 대상, 소득 조건도 완전 달라요.

항목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
나이19~34세19~34세
소득 기준개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 조건월 70만 원 이상 벌어야 가입 가능월 20만 원 이상이면 가능

예를 들어, 혼자 살면서 월 250만 원 정도 벌고 있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 기준을 초과해서 안되고, 청년도약계좌는 가능할 수 있어요.

하지만 반대로, 가구소득이 낮은 분이라면 내일저축계좌 쪽이 훨씬 혜택이 큽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중위소득의 100%는 표에 제시된 금액 그대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가구원 수2024년 기준 중위소득2025년 기준 중위소득인상률
1인2,228,445원2,392,013원7.34%
2인3,682,609원3,932,658원6.79%
3인4,714,657원5,025,353원6.58%
4인5,729,913원6,097,773원6.42%
5인6,695,735원7,108,192원6.16%
6인7,618,369원8,064,805원5.86%

납입 구조도 아예 다릅니다.

‘얼마를 내고, 얼마나 받는지’ 핵심 비교해볼게요.

항목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
납입 기간최대 5년최대 3년
본인 납입월 최대 70만 원월 10만 원
정부 지원장려금 + 이자지원 (소득 따라 다름)정부가 최대 월 30만 원까지 얹어줌
만기 수령액최대 약 5,000만 원 가능최대 약 1,440만 원 가능

👉 내일저축계좌는 월 10만 원만 넣어도 정부가 매달 30만 원을 얹어주니까, 저소득 청년에겐 정말 큰 혜택이에요. 반면 도약계좌는 스스로 많이 넣을 수 있는 사람에게 유리하죠.

조건도 체크하셔야 해요.

특히 정부지원금을 받으려면 그냥 유지한다고 다 되는 게 아닙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유지하면서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3년간 꾸준히 근로도 해야 하고, 자립 교육, 사용 용도 확인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저축한 돈으로 해외여행 가야지~” 하시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지원금을 못 받습니다. 그 돈은 주거비, 교육비, 창업, 결혼자금 같은 데 써야 하거든요.

가입 방법도 다릅니다.

어디서,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도 알아두셔야 해요.

  • 청년도약계좌는 시중은행 앱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예: 신한, 하나, 국민 등)
  • 청년내일저축계좌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해요.

단, 내일저축계좌는 연중 상시모집이 아니고 모집기간이 따로 있어요. 그래서 신청 시기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어요.

  • 월급이 중간 이상이고, 꾸준히 일하고 있다면 → 청년도약계좌
  • 소득이 낮고, 정부의 자립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 청년내일저축계좌

무엇보다 중요한 건, 두 개 동시 가입은 불가능하다는 점! 그래서 나한테 더 유리한 조건이 뭔지 미리 파악하고 골라야 합니다.

정리

항목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
목적중산층 청년 자산 형성저소득 청년 자립 지원
소득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개인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기준)
납입월 70만 원까지월 10만 원 고정
정부지원장려금 + 이자 지원월 최대 30만 원 매칭 지원
수령액최대 5,000만 원최대 1,440만 원
가입방법은행 앱복지로·주민센터
조건5년 유지, 소득요건3년 근로, 교육, 용도제한 등

마치며

정부 지원 정책, 무조건 받는 게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조건에 안 맞거나 중간에 해지하면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꼭 내 상황에 맞는 계좌를 선택하는 것, 그게 가장 중요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복지로 상담센터(☎129)나 가까운 은행 지점에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아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