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 파워, 구글이 선택한 SMR 기업

카이로스파워

최근 구글은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전문 기업과 협력할 예정임을 밝혔는데요. 그 주인공은 바로 카이로스 파워(Kairos Power)입니다.

단순히 전기를 사 오는 수준을 넘어, 발전소 건설부터 함께하기로 한 구글의 파격적인 행보. 대체 카이로스 파워는 어떤 매력을 가졌기에 구글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카이로스 파워의 기술력부터 재무 상태까지 자세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이로스 파워는 어떤 기업일까요?

2016년 미국에서 시작된 카이로스 파워는 “깨끗하고 안전하며, 모두가 쓸 수 있는 저렴한 에너지를 만들겠다”는 아주 명확한 목표를 가진 회사입니다.

‘카이로스(Kairos)’는 고대 그리스어로 ‘중요한 기회’나 ‘결정적인 순간’을 뜻하는데요. 지금이 바로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결정적 순간이라는 그들의 의지가 엿보이는 이름이죠.

원자력 발전, 하면 많은 분들이 안전 문제를 먼저 떠올리실 겁니다. 카이로스 파워는 바로 그 지점에서 출발했습니다.

기존 원전의 한계를 뛰어넘어, “만약의 사고’라는 걱정 자체를 할 필요가 없는 수준의 안전성을 구현하면서도, 경제성까지 갖춘 원자로를 만드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글 카이로스파워 협력

4세대 원자로 ‘KP-FHR’

카이로스 파워는 KP-FHR(불화염 냉각 고온 원자로)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름은 어렵지만, 핵심은 아주 간단합니다. 기존 원자로의 패러다임을 바꾼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시죠.

  • ‘압력’을 없애 안전을 더하다: 기존 원자로는 냉각수로 ‘고압의 물’을 씁니다. 압력이 높다 보니 항상 배관 파손 등으로 인한 누출 위험에 대비해야 했죠. 하지만 KP-FHR은 ‘액체 소금(불화염)’을 냉각재로 씁니다. 이 액체 소금은 대기압, 즉 우리가 생활하는 일반적인 압력과 거의 같은 상태에서 작동합니다. 압력솥이 아니라 그냥 냄비에서 물을 끓이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덕분에 사고 시 폭발이나 대규모 누출 같은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했습니다.
  • 최악을 막는 철벽 방어 연료, ‘TRISO’: 자동차에 에어백이 있듯, 원자로에는 연료를 안전하게 감싸는 기술이 중요합니다. 카이로스 파워는 트리소(TRISO)라는 특수 연료를 사용합니다. 흑연과 세라믹으로 무려 5겹을 감싼 아주 작은 알갱이 형태인데요. 섭씨 1,600도가 넘는 고열에도 녹지 않고 방사성 물질을 완벽하게 가두기 때문에, 최악의 사고로 꼽히는 ‘노심용융’의 가능성 자체를 없앴습니다.
  • 작고, 빠르고, 저렴하게: KP-FHR은 구조가 훨씬 단순하고 크기도 작습니다. 덕분에 대형 원전처럼 10년씩 걸려 짓지 않고, 공장에서 주요 부품을 미리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설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독보적인 기술력 덕분에 카이로스 파워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50년 만에 새로운 형태의 원자로 건설 허가를 받아내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습니다.

카이로스 파워 재무 현황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회사가 안정적이지 못하면 신뢰하기 어렵겠죠?

일반적인 스타트업처럼 벤처캐피털의 투자에만 의존하는 대신, 미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에너지부(DOE)의 차세대 원자로 실증 프로그램(ARDP)을 통해 최대 3억 3백만 달러(약 4,200억 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받기로 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정부의 까다로운 검증을 통과했다는 사실은 기술의 신뢰성을 보증하는 강력한 증표이며, 구글과 같은 대기업이 장기적인 파트너로 선뜻 손을 내밀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안정적인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만 집중할 수 있는 탄탄한 재무 구조를 갖춘 셈입니다.

마치며

구글은 카이로스 파워와 협력하여 2030년부터 구글의 데이터센터에 500MW 규모의 무탄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카이로스 파워는 비상장 회사라 투자는 어렵지만, SMR 투자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지켜볼 필요가 있는 회사로 보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