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는 특정 국가가 자국 상품에 부과된 관세에 대응하여 상대국의 상품에도 동일한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정책입니다. 무역 분쟁에서 자국 경제를 보호하는 주요 수단 중 하나로 사용되며,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본 글에서는 상호관세의 개념과 역사, 주요 대상국,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호관세, 개념과 역사
상호관세(Retaliatory Tariff)란 한 국가가 자국 상품에 부과된 관세에 대응하여 상대국의 상품에도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제 무역에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는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상호관세의 개념은 18~19세기 유럽의 보호무역 정책에서 비롯되었으며, 20세기 들어 세계대전과 경제 위기 속에서 더욱 활발하게 적용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1930년 미국이 시행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법안은 20,000개 이상의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였고, 이에 여러 국가가 보복 관세를 시행하면서 글로벌 무역이 위축되었습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상호관세는 주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전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이에 맞서 미국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
최근 미국은 우리나를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에 포함시켰습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우리나라의 높은 관세 때문에 지난 수년간 미국은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부터 전 세계 무역대상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상호관세는 주로 무역 갈등이 발생한 국가 간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국가들이 주요 대상국으로 꼽힙니다.
① 미국과 중국 상호관세
미중 무역전쟁은 대표적인 상호관세 사례입니다. 2018년 미국은 중국산 제품 500억 달러 규모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중국도 미국산 농산물과 자동차 등에 보복 관세를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양국은 협상을 거듭했지만, 여전히 상호관세 부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② 미국과 유럽연합(EU) 상호관세
미국과 EU 간에도 여러 차례 상호관세가 부과된 사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보잉-에어버스 보조금 분쟁에서 양측이 서로에게 수십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③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상호관세
미국은 2018년 국가 안보를 이유로 캐나다 및 멕시코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이에 캐나다와 멕시코도 미국산 농산물과 철강 제품에 보복 관세를 적용하며 대응하였습니다.
④ 일본과 한국 상호관세
일본과 한국도 과거 무역 갈등으로 인해 상호관세에 준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2019년 일본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하였고, 이에 한국도 일본 제품 불매운동과 경제적 대응책을 마련하며 대응하였습니다.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 전략
상호관세로 인해 무역 장벽이 높아지면 기업과 국가들은 이에 맞춰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 다음은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주요 전략입니다.
①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 협정국 간의 관세 장벽이 낮아져 상호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 미국 및 EU와 FTA를 체결하여 일부 품목의 관세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② 공급망 다변화
한 국가에 의존하는 무역 구조를 피하기 위해 다국적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중국 외에도 동남아시아, 인도 등으로 생산 기지를 분산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③ 정부 간 외교 및 무역 협상 강화
무역 분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 간 협상이 필수적입니다. WTO(세계무역기구)나 G20과 같은 국제 기구를 통해 협상 테이블을 마련하면 상호관세의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지정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④ 소비자 및 기업 지원 정책 도입
정부는 상호관세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수출기업 지원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피해를 본 농민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한 사례가 있습니다.
결론
상호관세는 국제 무역에서 자주 등장하는 정책 도구이며, 무역 갈등이 발생할 때 각국이 이를 활용하여 자국 경제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무역 협상과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해결책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또한, 기업들은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정부는 정책적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상호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