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저축계좌, 희망두배 청년통장 비교 및 추천(동시가입 가능 여부)

청년내일, 희망두배

청년 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청년내일저축계좌’와 ‘희망두배 청년통장’.

둘 다 목돈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제도인데요. 이름도 비슷하고 혜택도 좋아 보여서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제도의 가입조건, 혜택, 차이점과 어떤 상품을 먼저 가입해야하는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청년내일저축계좌

먼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2022년부터 시행되어 전국 단위로 운영됩니다. ‘일하는 저소득 청년의 자산형성’을 목표로 합니다.

▪️ 가입 조건

  • 만 19~34세 청년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1인 가구 기준 2025년 약 2,166,000원 이하, 매년 변동 가능)
  • 본인 근로·사업 소득: 월 50만원 이상 ~ 200만원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별도 요건이 적용됩니다.

▪️ 혜택

  • 본인 월 10만원 납입 시 정부가 10만원 추가 적립
  • 3년 만기 시 약 720만원 + 이자 수령 가능 (총 적립금 = 본인 360만원 + 정부지원금 360만원 + 이자)

▪️ 운영 방식

  •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 지급: 만기 시 생계급여 제외형 자산으로 인정

희망두배 청년통장

반면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 지역 한정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 서울에 거주하거나 생활근거지를 둔 청년만 신청할 수 있죠.

▪️ 가입 조건

  • 만 18~34세 서울 거주 청년
  • 근로·사업소득: 월 25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기준: 2억 5천만원 이하 (금융, 부동산 포함)

▪️ 혜택

  • 본인 월 10만원 또는 15만원 납입 시, 서울시가 동일 금액 매칭
  • 2년 만기 시 약 480만원 (10만원 납입 기준) + 이자
  • 3년 만기 시 약 1,080만원 (15만원 납입 기준) + 이자

▪️ 운영 방식

  • 신청: 서울시 복지포털 온라인 신청
  • 지급: 약정 불이행 시 지원금 전액 회수 가능

두 상품의 주요 차이점

아래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구분청년내일저축계좌희망두배 청년통장
운영 주체보건복지부서울시
대상 지역전국서울시 거주자
나이 조건만 19~34세만 18~34세
소득 기준본인 월 50~200만원, 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본인 월 25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
적립 방식본인 10만원 + 정부 10만원본인 10만원 또는 15만원 + 서울시 동일 금액
지원 기간3년2년 또는 3년
만기 수령액약 720만원 + 이자최대 1,080만원 + 이자
기타기초수급자/차상위는 추가 지원약정 불이행 시 지원금 회수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

둘 다 조건을 충족한다면 희망두배 청년통장이 더 유리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1. 적립금액이 더 큽니다. (최대 1,080만원 vs 720만원)
  2. 적립 기간 선택이 가능합니다. (2년 or 3년)

하지만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 거주자만 신청할 수 있으므로, 타 지역 청년이라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추가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 청년에게도 유리한 제도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해당 대상자는 주민센터에 상담 후 신청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입 전 체크해야 할 사항

✔️ 두 상품은 동시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 예산 상황에 따라 매년 모집 인원이 변동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전액 회수됩니다.

✔️ 두 제도 모두 근로활동 유지, 교육 이수, 연간 통장 사용 내역 제출 등의 의무가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지원금이 회수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마치며

요약하자면,

서울 거주자라면 ‘희망두배 청년통장’을 우선 고려
타 지역 청년이라면 ‘청년내일저축계좌’가 대안
✅ 두 상품 모두 소득, 재산 요건, 근로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신청 필요

두 제도 모두 청년의 미래를 위한 훌륭한 자산형성 수단입니다. 다만 본인 상황에 맞게 선택하셔야 불이익 없이 만기 혜택을 누릴 수 있으니, 주민센터나 복지포털 상담을 통해 확실히 확인 후 가입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