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건강보험료율 7.19%, 연봉별 예상 보험료 계산

2026년 건강보험료율

2026년부터 건강보험료율이 7.19%로 인상됩니다.

2년간의 동결 끝에 결정된 이번 인상으로 인해 직장가입자의 실제 보험료 부담액이 얼마나 될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25년 9월부터는 희귀 혈액암인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이 대폭 확대되어 고액 약제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건강보험료율 토대로 연봉별 예상 보험료를 계산해보겠습니다.

2026년 건강보험료율 1.48% 인상

2026년도 건강보험료율은 올해 7.09%에서 0.1%p 오른 7.19%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대비 1.48% 인상된 수치입니다.

  • 인상 배경: 정부는 그간의 보험료율 동결과 저성장 기조로 약화된 건강보험 수입 기반을 안정시키고,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미래 지출 소요에 대비하기 위해 인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평균 변동액: 이번 인상으로 직장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160,699원으로 2,235원 오르고, 지역가입자는 90,242원으로 1,280원 인상됩니다.
연도별 건강보험료율

연봉별 월 예상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월 보수월액(연봉/12개월)에 보험료율(7.19%)을 곱하여 산정되며, 이 금액을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50%씩 나누어 부담합니다. 즉, 근로자 본인은 월 보수월액의 3.595%를 납부하게 됩니다.

2026년 보험료율을 기준으로 주요 연봉 구간별 월 예상 보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봉월 보수월액월 예상 건강보험료(본인부담)
3,000만 원2,500,000 원89,870 원
4,000만 원3,333,333 원119,830 원
5,000만 원4,166,667 원149,790 원
6,000만 원5,000,000 원179,750 원
7,000만 원5,833,333 원209,700 원
8,000만 원6,666,667 원239,660 원
9,000만 원7,500,000 원269,620 원
10,000만 원8,333,333 원299,580 원
15,000만 원12,500,000 원449,370 원
20,000만 원16,666,667 원599,160 원

참고: 위 금액은 건강보험료에 대한 예상치이며, 실제 청구액은 소득 및 공제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보험료는 상한액이 정해져 있으며, 장기요양보험료는 별도로 산정되어 합산 청구됩니다.

다발골수종 치료제 급여 확대

2025년 9월 1일부터 완치가 어려운 희귀난치성 혈액암인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 접근성이 향상됩니다.

  • 대상 약제: 다라투무맙(daratumumab) 성분 치료제
  • 확대 내용: 기존에는 1차, 4차 이상 투여 단계에서만 급여가 적용되었으나, 앞으로는 2차 이상 투여 단계의 병용요법(DVd요법)에도 급여가 확대됩니다.
  • 환자 부담 경감: 이번 확대로 2차 이상 단계 환자의 1인당 연간 투약비용이 기존 약 8,320만 원에서 약 416만 원(본인부담 5% 적용 시)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게 됩니다.

정부는 재정 안정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의 보장성을 강화하여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치며

솔직히 매달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더 빠져나간다는 소식은 반갑지 않습니다. 가뜩이나 물가도 높은데 작은 금액이라도 고정 지출이 늘어나는 것은 분명 부담입니다.

당장의 부담은 아쉽지만, 우리 모두를 위한 필수적인 투자라 생각하며 받아들여야 할 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